목차(330P)
- 서언 피터 드러커에게 배운 10가지의 교훈_짐 콜린스(15P)
- 서문 경영 리더라면 성과를 내야 한다.(3P)
- 들어가며 어떻게 '성과를 내는 경영 리더'가 되는가(020P)
- 1장: 성과 목표 달성 능력은 배울 수 있다(38P)
- 2장: 당신의 시간을 알라(46P)
- 3장: 내가 기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32P)
- 4장: 강점을 생산적이 되도록 하라(48P)
- 5장: 중요한 것부터 먼저 하라(22P)
- 6장: 의사 결정의 주요 요소들(48P)
- 7장: 효과적인 의사 결정은 어떻게 하는가(44P)
- 나오며: 성과를 내는 능력은 습득해야 한다(13P)
- 옮긴이의 말: 진정 값진 성과를 내는 경영 리더로의 여정(4P)
인상 깊은 구절
- 인간관계는 각자의 개성이 아니라 수행 할 직무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개별 직무에서 요구하는 JD 수준을 높고 크게 설계하라
- 젊은 지식작업자는 일찌감치 다음과 같이 자문하라
- 나는 나의 강점이 발휘될 수 있는 적합한 일을 하고, 또한 내게 적합한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가?
- 일본의 시스템 자체가 인간의 약점을 심각한 것으로 여기지 않았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 즉 강점을 찾고 강점을 활용하는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없어선 안 될 사람이라는 말을 받아들이지 말라
- 그 사람이 사실은 무능해서 여러 가지 일을 하지 못하도록 차단당할 때 겨우 살아남을 수 있는 사람
- 혼자서는 업무를 처리할 수 없는 무능한 상사를 보필하기 위해 그 사람의 강점이 오용되고 있는 경우
- 문제가 있음을 감추려는 의도가 아니더라도 그 중요한 문제 해결을 늦추는 데 그 사람의 강점이 오용되는 경우
- 청년들이 진로를 선택하는 것에 점점 더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 이유
- 자기 자신이나 취업 기회에 대해서 충분한 정보가 없다.
- 상사는 관리되어야 한다.
- 강점이 생산적이 되도록하는 것은 실행과 더불어 태도이다.
적용 점
- 일을 하며 즐겁지 않을 때, 회의감이 들 떄 자문하자
- 나는 나의 강점이 발휘될 수 있는 적합한 일을 하고 있는가?
- 나는 나의 강점이 발휘될 수 있는 내게 적합한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가?
- 없어선 안 될 사람이라는 말을 받아들이지 않아야 한다.
- 이 말을 경계하라
- 어떤 의미로 나왔는지
- 혼자서는 업무를 처리할 수 없는 무능한 상사를 보필하기 위해 나의 강점이 오용되고 있는 경우
- 이동하라
- 나 스스로에 대해서 잘 모른다.
- 언제 일의 능률이 가장 오를까?
- 상사는 관리되어야 한다.
- 상사의 강점이 무엇일까?
- 무엇이 올바른가?
- 데일 카네기와 피터 드러커의 공통점이 하나 더 나왔다.
- 그것은 “관찰”, “이타적 관심”이라는 것
- 관찰과 다른 관점을 존중하는 것
'일상 > 자기계발&자기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24년 1회 문제 (0) | 2025.04.09 |
---|---|
[독서] 피터 드러커 자기경영노트 - 5장 (0) | 2025.04.09 |
[독서] 피터 드러커 자기경영노트 - 3장 (0) | 2025.04.04 |
[#정보처리기사] 24년 2회 문제 (0) | 2025.04.03 |
[#정보처리기사] 24년 3회 문제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