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기획고찰37

파킨슨의 법칙 정의업무를 마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업무를 위해 할당된 시간만큼 늘어난다는 법칙해설작업을 마치기까지 필요 이상으로 긴 시간이 걸린다거나 업무를 미루다가 마감일 직전에야 작업을 마친다는 뜻시간이 있으면 여유를 부리게된다.적용시간이 있는 경우 작업을 더 천천히 하면서 시간을 보내거나 미루다가 마감일 직전에야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유사람들은 작업이 주어졌을 때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 얼마인지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을 완료하는 데 주어진 시간이 얼마인지 생각대표적 조직공무원해결방법마감일이 아닌 프로젝트에 필요한 시간의 양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비효율을 예방확인하는 기준 시점을 추가하면 이것이 피드백이 되어 어느 정도 진행되었고 언제 멈추어야 할지 알 수 있다.파레토의 법칙 활용.. 2025. 1. 6.
피커스어드밴티지 피커스어드밴티지란?핑의 차이나 서버의 불안정으로 인해, 먼저 움직이는 플레이어가 미세한 시간적 우위를 얻는 행위 쉽게 설명하면 내가 보는 화면과 서버가 인식하는 화면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 핑(ping)플레이어의 장치와 게임 서버 간에 정보가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 것핑이 낮은 플레이어는 입력과 해당 동작을 등록하는 서버 사이의 지연 시간이 줄어든다.즉, 핑이 낮은 플레이어는 본인이 입력한 행동이 서버에서 먼저 처리되기 때문에 핑이 높은 대상보다 약간의 우위를 갖게 된다. FPS에서 강조되는 이유?게임의 특성상 "정보"가 중요하기 때문적을 발견하고 처치한 한다는 행위로 이루어지는 FPS지형적 유불리를 극복하고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지만 해당 유불리를 무시하고 먼저 상대를 발견하여 처치할 수 있고상.. 2024. 9. 25.
게임에서 찾아보는 파레토의 법칙 파레토의 법칙은 무엇인가?파레토의 법칙은 흔히 80대 20의 법칙으로 불리운다. 파레토의 법칙은 20%의 노력으로 80%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원칙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가 제시한 개념으로, 불균형의 법칙이라고도 불린다.게임에서 찾아볼 수 있는 파레토의 법칙은 무엇일까?게임에서도 파레토의 법칙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1. 대부분의 게임에서 플레이어 80%의 플레이 시간은 20%의 콘텐츠에 집중된다.EX) RPG 게임에서 주요 퀘스트와 메인 스토리라인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만 나머지 20%의 사이드 퀘스트나 엔드게임 콘텐츠는 상대적으로 적게 플레이한다. 2. 온라인 게임에서 상위1%의 플레이어가 대부분의 플레이 시간과 성과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EX) 온라인 게임에서 상위 랭킹에 오른 .. 2024. 6. 16.
2023.11.28 메모 정리 공회의 가설 기획 정리 1. 중간에 동상이 존재한다는 가설 동상 머리위 말풍선 - 리소스 존재 유무 확인 말풍선 터치 시 애니메이션 재생 후 팝업창 표시 줌인, 줌아웃 애니메이션 존재 유무 확인 2. 팝업창 닫기 버튼과 같은 각 UI 점검 카테고리란 잠금 여부 고민 팝업 채팅 입력 조건 지정 EX) 띄어쓰기를 포함한 최대 100자 이모지, 특수문자는 안됨 욕설 안됨 조건 만족이 안되면 당연히 버튼 비활성화 해야지 닫는 조건 팝업 메시지 창 DB 관리 방식 결정하기 약관동의 가설 기획 정리 동의안한 경우 → 약간동의 창 동의한 경우 1. 플레이팹 인증키 O 2. 플레이팹 인증키 X → 파이어베이스 연결 → 구글 연결 플레이팹 로그인 → 서버데이터 → 타이틀 → 유저 타이틀 → 컨텐츠 데이터 닉네임 체크 있.. 2023. 11. 28.
전투란 무엇인가? 2023. 9. 23.
2023.09.07(목) 퀘스트 기획 예시 메모 2023. 9. 7.
기획 학습 2023. 8. 16.
게임 제작 진행 순서 2023. 7. 14.
기획 직무 별 차이 2023. 7. 14.
밸런싱과 확률 1차원 균등 분포 확률 1차원 불균등 분포 확률 2차원 복합 확률 연속 사건 확률 3차원 확률 종속 사건 배반 사건 균등 분포 열거 확률 비균등 분포 열거 확률 2023. 6. 27.
게임 분석이란? 2023. 6. 24.
모바일 게임 화면 구조 분석 2023. 6. 23.
확률 분석 2023. 6. 23.
좋은 질문의 방법 2023. 6. 11.
분석과 데이터 2023. 6. 11.
고객 프로필 분석 방법 2023. 6. 11.
규칙 선호도 2023. 6. 11.
타겟 고객 2023.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