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획7

파킨슨의 법칙 정의업무를 마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업무를 위해 할당된 시간만큼 늘어난다는 법칙해설작업을 마치기까지 필요 이상으로 긴 시간이 걸린다거나 업무를 미루다가 마감일 직전에야 작업을 마친다는 뜻시간이 있으면 여유를 부리게된다.적용시간이 있는 경우 작업을 더 천천히 하면서 시간을 보내거나 미루다가 마감일 직전에야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유사람들은 작업이 주어졌을 때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이 얼마인지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을 완료하는 데 주어진 시간이 얼마인지 생각대표적 조직공무원해결방법마감일이 아닌 프로젝트에 필요한 시간의 양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고 비효율을 예방확인하는 기준 시점을 추가하면 이것이 피드백이 되어 어느 정도 진행되었고 언제 멈추어야 할지 알 수 있다.파레토의 법칙 활용.. 2025. 1. 6.
240706 언어메모 1. 다른 선택을 할 때는 과감하게 버려라버려야 할 것 미련 갖지말라그래야 선택이 깔끔해진다.자꾸 미련을 갖게되면결국,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나다운 선택을 만나기 힘들다. 2. 펜을 팔아보세요 이야기목적: 세일즈맨을 시험하는 것개요: 세일즈맨이 세일즈를 알고 있는지를 시험한다. 만약 전문 세일즈맨이 아닌 사람에게 물어본다면→ 펜을 팔려고만 한다. 전문 세일즈맨이라면?→ 질문부터한다.→ 펜을 사려고 얼마나 오래 알아보셨습니까?→ 전에는 어떤 펜을 썼었나요?→ 업무용인가요 개인적으로 쓰시는 건가요? 세일즈의 핵심은,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는 2024. 7. 6.
2024.04.15 정보의 비대칭 로스트아크 방송으로 바라보는 분석로스트아크 방송을 보고있자니 딱 떠오르는 마케팅 기법이 정보의 비대칭을 활용한 화법이다. 로스트아크를 보고 있었으니 게임 회사를 기준으로 잡겠다. 정보 A는 기업만 알고 있는 정보이고 고객들은 모르는 정보라고 할 때 이때 기업은 해당 정보 A를 활용하여 고객 유치, 매출 상승 등 여러 가지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활용의 대표적인 예시는 메이플스토리 확률 조작 사건이다. 비공개된 정보인 확률을 이용하여 고객을 상대로 매출 상승, 고객 유치라는 목적에 사용한 게임계의 대표적인 사례인 것 하지만 큰 실수를 저지른 행위에도 해당하는데 그것은고객이 해당 정보를 알게 된 이후 또 다른 비대칭 정보인 다른 항목의 확률을 이용한 매출 유지, 고객 유치,기업 브랜딩, 상황 반전.. 2024. 5. 31.
2024.02.23 생성형 AI 미드저니의 활용 미드저니 이미지 뽑기 AI가 발전함에 따라 나도 관련된 기술은 알고 있어야겠다고 생각하여 뽑아보았다. 가격은 10$를 달마다 지불하는데 비싸다고 느끼지만그 활용성과 최근 구독 비즈니스 모델 유행을 고려했을 때 어쩔 수 없는 경향이긴 하다. 해당 이미지는 '게임 팔월드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해'라는 문구를 입력하였을 때 나오는 이미지다. 자신이 원하는 것에 대하여 상세하게 입력하면 원하는 방향성에 맡게 뽑아준다는 것 같다. 사용법을 들었을 때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것이 꼭 기획의 업무와 비슷하다는 생각이 스쳐 지나가긴 했다. 여튼 이러한 생성형 AI를 당장 활용하는 당장 떠오르는 방법은내가 생각하는 방향성에 대하여 레퍼런스를 제공하거나 간단한 콘텐츠를 만들어 보는 것이다. 2024. 5. 31.
2024.02.05 인간관계로 바라보는 검은사막 인간관계와 선에 대한 고찰비가 오기에 많은 생각에 잠기게 되어 작성한 글. 인간관계란 매우 어려운 것이다. 타인과 나에게는 일정한 선이 존재하지만, 오랜시간이 흘렀을 때 그 선은 희미해지게 된다. 사람에 따라 그 선을 유지하고 싶어 하는 사람도 존재하지만 나는 그 시간에 따라 그 선이 점점 잊혔던 것 같다. 그로 인해 트러블이 발생하였고 하나의 깨달음을 얻었다. 현실이든 인터넷상이든 타인이기에 그러한 선은 존재해야 하며 배려와 신의를 위한 최소한의 장치라고 느낀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간은 복합적 동물이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다. 이러한 통찰은 최근 발생한 검은사막 이슈와 연결되어 있다고 느꼈는데 그 이유는 MMORPG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하는 장소이기에 인간관계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 2024. 5. 31.
2023.12.06. 후원 광고를 보고 떠오른 광고 기법 인간의 감정을 사로잡는 광고최근에 본 후원 광고에서 두루뭉술하게 아프리카 아이들을 언급하지 않고특정 인물을 정확하게 콕 집어서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보았을 때 근래에 한 도서의 내용이 떠올랐기에 메모로 작성해 둔다. 1. 한 회사의 회장이 자신의 소장품을 처분해 장학 사업을 하려고 한다.2. 기존에도 장학 사업을 회사에서 정기적으로 진행하던 상황이다.3. 그렇기에 홍보 영상을 제작하려고 한다. 기획 의도장학 사업을 통해 실제 혜택을 받은 아이들을 홍보 모델로 기용하여 장학 사업의 실용성과 효용성을 강조하여 더 많은 사람의 참가를 유도하고 회사의 브랜드 이미지를 재고하게 한다. XX 장학 사업 후원 경매수혜자 모델 기용: 자신의 꿈을 이루게 된 이들⇨ 이미 혜택을 받은 내용을 강조하기 위한 모델 .. 2024. 5. 31.
2023.12.05. 기획이란 무엇인가? 기획은 고민과 설득하는 사람A or B 어느 것이 효과적인가? 늘 고민하고 늘 정리하고 결정하는 창작자이며 현장을 확인하고, 고객들을 만나는 것과 같이 인터뷰 → 고민 →  결정 →  창작의 절차를 거치며 상급자와 고객을 설득하는 사람 기획자 →  SW 공학 → 기능 기획 A B C D E F G와 같은 사람 냄새가 느껴지는 키워드로 →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다. 기획의 끝은 결국 사람이 사용하는 것 사람을 이해해야 한다. 문화적 깊이를 쌓자. 2024. 5. 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