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분석 준전문가
2024 08월 10일 토요일에 있었던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자격증에 응시하여 합격하게 되었습니다.
핵심은 빅데이터분석기사를 준비하다가 겸사겸사 했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데이터분석 준전문가는 다음과 같은 과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데이터 이해 | 데이터의 이해 |
|
데이터의 가치와 미래 |
|
|
가치 창조를 위한 데이터 사이언스와 전략 인사이트 |
|
|
데이터분석 | 데이터분석 기획의 이해 |
|
분석 마스터 플랜 |
|
|
데이터분석 | R기초와 데이터 마트 |
|
통계분석 |
|
|
정형 데이터 마이닝 |
|
시험문항은
데이터 이해 20문항
데이터 분석 기획 20문항
데이터 분석 60문항으로
총 100문항 중 60개만 맞추면되는 시험입니다.
구성을 보았을 때
데이터 이해와 데이터 분석 기획에서 점수를 획득하시면 어렵지않게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이지만
응시료가 5만원............이기에.....
취득하려고 하신다면 확실하게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저는 빅데이터분석기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취득했다고 알려드립니다.
그 이유는 내용의 결이 대부분이 비슷하기 때문에 취득하겠다고 여러번 공부할필요는 없으니까요.
일거양득을 노려보았습니다.
빅데이터분석기사를 공부하면서 부족한 나머지는
IT의 답을 터득하다, 아답터 - 민 기술사라는 유튜브를 참고해서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최연소 기술사라서 그러신지 공부 외적으로도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이전에 글을 작성한적이 있었지만 여러가지 동기가 있습니다.
* 관련학과를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저 자신이 졸업장대신 자격증으로 증명하고 싶었습니다.
* 최근 기업들이 경험위주로 질문하는 것을 알고있습니다. 그런데 왜 따냐?
중소기업을 다녀보니 느낀점은 국가를 상대로 사업을 진행하는 기업들이 많다는 점입니다.
Ex) 지원사업, 수주사업, 국책사업 등
여전히 국가는 기업에게 사업을 맡길 때 평가를 하는 과정에서 인력의 자격증 유무를 점수로 매기고있는 실정입니다.
그렇기에 인력의 자격증 하나가 기업의 성과가 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대기업과 일부 중견기업은 국가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고로 해당 사항을 통해 저의 기업 선택의 폭이 매우 넓어지게 됩니다.
'일상 >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디지털트렌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0) | 2025.02.11 |
---|---|
2024 09월 07일 빅데이터 분석기사 필기시험 후기 (2) | 2024.09.28 |
2024 정보처리기사 필기 3회 후기 07월 (0) | 2024.07.15 |
240708 기출문제 복기 (2) | 2024.07.09 |
240707 기출문제 복기 (0) | 2024.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