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오늘의 경제

[경제신문 스크랩] #지방자체단체 #AI 25.03.20

by 스토리울음 2025. 3. 21.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08201

 

경남 '2조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나선다

경상남도가 대학 및 기업과 손잡고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데이터)센터 유치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정부는 2027년까지 최대 2조원을 투입해 비수도권에 국가 AI 컴퓨팅센터를 구축할 계획

n.news.naver.com

한국경제  입력2025.03.19. 오후 6:59 기사원문 김해연 기자

 

요약 및 압축 (핵심 내용 및 수치 중심 정리)

경상남도는 40개 기업·기관과 협약을 맺고 국가 AI 컴퓨팅센터 유치초거대 제조 AI 후속 사업을 추진한다. 2027년까지 최대 2조원 규모비수도권 AI 컴퓨팅센터 구축이 예정되었으며, 경남은 2031년까지 3조7000억 원 투자를 통해 제조 AI 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AI 유니콘 기업 2개, 강소기업 100개, 소프트웨어 기업 2000개를 유치할 방침이다.

용어 정리

  • 초거대 제조 AI: 제조업에 특화된 대규모 AI 모델로, 제조 챗GPT 개발을 목표로 함.
  • AI 컴퓨팅센터: 대규모 AI 데이터 저장, 처리, 학습을 위한 인프라.
  • AX(인공지능 전환, AI Transformation): 제조업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 기술을 활용하는 과정.
  • 스마트공장: AI 및 자동화 기술이 적용된 공장으로,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제조 방식.
  • 경남 디지털 혁신밸리: 경남 창원·마산 지역에 조성되는 AI 및 디지털 산업 집적 단지.

본문의 근거 (객관적 수치)

  • 2027년까지 국가 AI 컴퓨팅센터 구축 예산: 최대 2조 원.
  • 경남형 제조 챗GPT 개발 예산: 3조7000억 원 투자(2031년까지).
  • 제조 AI 사업 단계별 예산:
    • 선도 사업: 227억 원(2026년까지)
    • 후속 사업: 1500억 원
    •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 3000억 원
  • 스마트공장 데이터 보유 현황: 4205개 스마트공장에서 생성된 제조 데이터 활용.
  • 기업 유치 목표:
    • AI 유니콘 기업 2개
    • 강소기업 100개
    • 소프트웨어 기업 2000개

추가 조사 내용:

  • 국가 AI 컴퓨팅센터의 역할과 주요 기능.
  • 초거대 제조 AI의 글로벌 트렌드 및 국내 기업의 경쟁력 분석.
  • 제조업 AI 적용 사례와 효과: AI 기반 스마트 공장이 실제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 AI 유니콘 기업 육성 전략: AI 스타트업 성장 지원 방안 및 정부 정책 분석.

적용점 (관련 업무 종사자에게 질문할 리스트)

  • AI 연구개발자: 초거대 AI가 제조업 혁신에 기여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적 요소는?
  • 공공기관 담당자: AI 컴퓨팅센터 유치를 위해 지역 정부가 준비해야 할 사항은?
  • 제조업체 경영진: AI 도입이 기존 생산 공정 및 비용 절감에 미치는 영향은?
  • 경제 전문가: AI 산업 육성 정책이 지역 경제 활성화 및 기업 유치에 미치는 효과는?

THINK

  • AI가 화두지만 국가적으로 너무 무분별하게 작업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 국가 ⇒ 경쟁을 통한 유치를 진행해야 하는데
    • 각 도시별 특색 없이 서로서로 자기 마음대로 구축한다면 어디로 몰릴 것 인가?
    • 결국에는 다시 수도권 중심으로 몰리지 않을까?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