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과학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033624g
"1030 몰린다"…젊어진 네이버, 구글 진격에도 '안방 사수'
"1030 몰린다"…젊어진 네이버, 구글 진격에도 '안방 사수', 네이버, '검색 점유율' 유지 2년 연속 58%대 기록 '선방' 1030 UGC 증가…검색 품질↑ 서치피드 강화, 검색 고도화 'AI 브리핑' 이르면 1분기
www.hankyung.com
[출처] 한국경제 김대영 기자 구독 입력2025.01.03 13:16 수정2025.01.03 13:16
1. "1030 몰린다"…젊어진 네이버, 구글 진격에도 '안방 사수'
네이버, '검색 점유율' 유지
2년 연속 58%대 기록 '선방'
1030 UGC 증가…검색 품질↑
서치피드 강화, 검색 고도화
'AI 브리핑' 이르면 1분기 출시
1.1 1030세대 사용자들 중심으로 한 사용자생성콘텐츠(UGC)가 증가한 게 주효
1.2 '2024 네이버 블로그 리포트'를 보면 지난 한 해 동안 새로 개설된 블로그 수는 214만여개로 전년(126만개)보다 약 70% 증가
1.3 젊은 사용자층 비중이 큰 네이버 숏폼 서비스 '클립'도 성장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139261
아주대 "신금속물질 세계 최초 개발…미래 반도체 기술 돌파구"
오일권 교수팀, 금속과 반대 특성 갖는 '비정질 준금속 나노박막' 실험적 입증 국내 연구진이 금속과는 완전히 다른 성질을 가진 새로운 비정질 준금속 나노 극초박막 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
n.news.naver.com
[출처] 연합뉴스 입력2025.01.03. 오전 4:00 수정2025.01.03. 오전 4:00 기사원문 최현석 기자
1. 아주대 "신금속물질 세계 최초 개발…미래 반도체 기술 돌파구"
오일권 교수팀, 금속과 반대 특성 갖는 '비정질 준금속 나노박막' 실험적 입증
1.1 공정 호환성이 높아 적은 비용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는 비정질 형태인 데다 반도체 소자에 충격을 주지 않는 저온 공정이 가능
1.2 이에 대한 후속 연구로 원자층 증착 공정 기반의 위상 준금속 공정을 개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92/0002358530
7일 개막 CES 핵심 키워드는..."AI 세상으로 몰입하세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인 'CES 2025'가 오는 7일(현지시간)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다. 올해 CES는 한층 진화된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가전, IT 전자기기, 소프트웨어, 모
n.news.naver.com
[출처] zdnet입력2025.01.03. 오전 4:00 입력2025.01.03. 오후 3:31 수정2025.01.03. 오후 3:42 기사원문 이나리 기자
1. 7일 개막 CES 핵심 키워드는..."AI 세상으로 몰입하세요"
삼성·LG·SK·현대 등 韓기업 900여개사 美·中 이어 최다
1.1 삼성·LG전자, AI로 일상을 바꿔주는 '스마트 홈' 가전
1.2 모빌리티 SDV 기술 선봬...현대모비스·하만·LG전자 참가
1.3 반도체, 로봇, 푸드테크, 헬스케어 등 전 산업에 AI 확산
산업/재계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0348811
최상목 "기업 최우선 보호…내수 살리기에 총력"
최상목 "기업 최우선 보호…내수 살리기에 총력", 경제계·중기인 신년인사회 참석
www.hankyung.com
[출처] 한국경제 박상용 기자 기자 구독 입력2025.01.03 17:53 수정2025.01.03 20:07 지면A3
1. 최상목 "기업 최우선 보호…내수 살리기에 총력"
경제계·중기인 신년인사회 참석
1.1 수출과 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맞춤형 기업 지원에 집중
1.2 중소기업이 투자를 확대할 수 있도록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임시투자세액공제를 도입하고 시설투자 가속상각 특례(감가상각 기간을 줄여 세 부담을 낮춰주는 조치)를 신설
1.3 전례 없는 규모와 속도의 민생 신속 지원 프로젝트를 통해 내수 회복을 적극 지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23602
“출산율 상승 반가운데 40대보다 고령 인구가”…韓 인구구조 흔들린다
작년 주민등록 출생자수 전년比 3.1% 증가 60대·70대 이상 인구, 40·30대 인구 각각 추월 65세 이상 인구는 0∼14세 미만의 2배 육박 주민등록인구 5121만명, 5년 연속 감소 작년 국내 출생자 수가
n.news.naver.com
[출처] 매일경제 입력2025.01.03. 오후 10:29 기사원문 안병준 기자
2. “출산율 상승 반가운데 40대보다 고령 인구가”…韓 인구구조 흔들린다
작년 주민등록 출생자수 전년比 3.1% 증가
60대·70대 이상 인구, 40·30대 인구 각각 추월
65세 이상 인구는 0∼14세 미만의 2배 육박
주민등록인구 5121만명, 5년 연속 감소
2.1 코로나19로 지연된 혼인이 엔데믹 이후 한꺼번에 몰리면서 일시적으로 혼인과 출생아가 증가한 것에 불과하다는 분석
2.2 지난해 60대 인구는 전년 대비 약 18만명 이상 늘어난 782만명으로 약 19만명 이상 감소한 40대 인구(772만명)를 처음으로 넘어섰다.
2.3 수도권 거주 인구는 2604만7523명, 비수도권 인구는 2516만9698명으로 수도권에 절반 이상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423405
“스페셜리스트가 돼라”...日 3대 은행 직무별 채용 확대
올해 신입행원중 40% 선발 일본의 3대 시중 은행이 신입행원 채용에서 배치 부서를 특정해 뽑는 직무별 채용을 확대하고 있다. 올해 이들 3개 은행이 직무별 채용으로 뽑는 인원은 총 665명으로,
n.news.naver.com
[출처] 입력2025.01.03. 오후 3:23 기사원문 신윤재 기자
3. “스페셜리스트가 돼라”...日 3대 은행 직무별 채용 확대
3.1 일본의 3대 시중 은행이 신입행원 채용에서 배치 부서를 특정해 뽑는 직무별 채용을 확대
3.2 전문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더해지면서 ‘제네럴리스트’ 에서 ‘스페셜리스트’ 중심으로 채용 방식 전환
3.3 3대 은행들은 특히 시스템 운영 포함 디지털 분야 인재 확보에 집중
'일상 > 오늘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뉴스 스크랩] 25.01.05 (0) | 2025.01.05 |
---|---|
[경제뉴스 스크랩] 25.01.04 (2) | 2025.01.05 |
[경제뉴스 스크랩] 25.01.02 (1) | 2025.01.03 |
[경제뉴스 스크랩] 25.01.01 (2) | 2025.01.01 |
[경제뉴스 스크랩] 24.12.31 (2) | 202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