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오늘의 경제

[경제뉴스 스크랩] 25.01.08 (CHANGE UP 프로토콜)

by 스토리울음 2025. 1. 8.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5010702109931081006&ref=jeadan

 

채용 얼었는데 AI와도 경쟁해야…개발자들 "AI 못하면 갈데 없어요"

개발자 채용 시장에 인공지능(AI)발 변화 회오리가 거세다. 개발자들은 안 그래도 얼..

www.dt.co.kr

[출처] 디지털타임 입력: 2025-01-08 06:19 팽동현 기자

 

1. 채용 얼었는데 AI와도 경쟁해야…개발자들 "AI 못하면 갈데 없어요"

 

1.1. 2024년 한국 국적 스타트업·중소기업 대상 투자 금액(총 6조863억원)과 투자 건수(총 1336건)는 각각 전년보다 20%, 27% 줄어들었다.

 

1.2. 스타트업업계에서 퇴사자 수가 입사자 수를 앞지르는 데드크로스 현상

 

1.3. 고급개발자와 AI개발자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높아 양극화 현상이 발생

 

1.4. 생성형AI가 개발자 업무를 일부 대체할 것이라는 의견은 83.6%에 달했고, 완전히 대체 가능할 것이란 답변도 8.2%를 기록

 

1.5. 실무에서 일부 대체하고 있다고 답했지만, 다른 전문가들은 아직 채용시장에 직접적인 영향까진 미치고 있지 않다고 봤다. 

허나 이들도 초급개발자들이 단순반복적인 개발만 하거나 업무영역을 한정한다면 장기적으로 대체될 수 있다고 했다. 앱 배포, 테스트, 품빌보증(QA) 등은 아직 사람이 직접 하지만 언제까지 사람의 업무영역으로 남을지 미지수로 보기도 했다.

 

1.6. 기존 개발환경이나 분야별·스택별 전문 개발자 또는 멀티 랭귀지(개발언어)에 대한 채용 수요는 줄어

학습 능력, 이슈의 본질적 이해 및 문제해결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모듈 디자인 능력, 생성형AI 도구가 제공하는 지식에 대한 판별 능력 등이 강조될 수 있다고 전망

1.7. 현장에선 외려 초급개발자들의 역량 향상과 업무범위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

 중급 이상의 SW개발자들이 수행하는 복잡한 업무를 당분간 생성형AI가 대체하긴 어렵다고 봤다. 다만 장기적으로 중·고급개발자가 개발업무에서 탈피, 개발관리 전문가로 거듭나는 방향으로 인력 활용 패러다임이 변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위 기사와의 연관성

 

채용

https://www.bigkinds.or.kr/v2/news/index.do

올해 취업시장 이슈 '컬처핏·채용브랜딩'

 

생성형 AI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2100501.20250107184254001

한국인이 가장 많이 쓴 생성형AI는 '챗GPT'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7101201.20250107170101001

한국인 생성형AI 앱 한달간 9억분 사용했다…1위는 챗GPT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2100101.20250107150510001

“무해해야 뜬다... 2025 트렌드 키워드는 ‘CHANCE’”

 

 

 

위 기사로의 질문

1. IDE에 포함 되어있는 AI를 사용하는 것인지 궁금하다.
아니면 API를 통해 본인이 원하는 AI를 당겨와서 사용하는 것인지
예시) 코파일럿, CURSOR, CLAUDE AI 같은 것

2. 전자와 연결된 질문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면 AI는 기본적으로 학습으로 진행되는데 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기업의 내부 내용을 학습시키는 문제는 어떻게 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