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오늘의 경제

[경제뉴스 스크랩] #다크패턴#소비자기만 25.02.18

by 스토리울음 2025. 2. 18.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222553i

 

해지 신청하니 유지 버튼만 크게…'다크패턴' 천태만상

해지 신청하니 유지 버튼만 크게…'다크패턴' 천태만상, 방통위, 다크패턴 사례집 발간 구독형 서비스, 광고·알림 등 주요 사례 담아

www.hankyung.com

[출처] 한국경제 이승우 기자 기자 구독 입력2025.01.22 11:07 수정2025.01.22 11:27

1. 해지 신청하니 유지 버튼만 크게…'다크패턴' 천태만상

 

1.1. 온라인에서 의도치 않은 결제를 유도하거나 중요한 정보를 숨기는 등 ‘다크패턴’이 갈수록 복잡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지를 방해하거나 모호한 광고 표시 등 유형도 다양

 

1.2. 다크패턴으로 인한 이용자 피해를 줄이기 위해 ‘ 디지털서비스이용자 보호를 위한 다크패턴 사례집’을 22일 발간

 

1.3. 온라인에서 불편과 피해가 자주 발생하는 구독형 서비스 분야와 서비스 광고·알림 및 데이터 수집 분야

 

1.4. 구독형 서비스의 주요 유형으로는 △과도한 해지 방해 △이용 과정에서 특정 선택 유도 △중요사항 정보 숨김 △무료 프로모션 통한 구독 유도

 

1.5. 서비스 광고·알림 및 데이터 수집에선 △서비스 이용을 방해하는 과도한 광고 △광고·알림을 수신하도록 이용자 선택 유도 △원치 않는 광고 노출 유도 △모호한 광고 표시 △베타버전의 소프트웨어 사용 유도 △이용자 활동 데이터 수집 동의 유도

 

1.6. 이용자 인식도 조사 결과 응답자 62%가 구독 취소 과정에서 유지 버튼을 눈에 더 잘 띄게 설계하는 디자인을 경험했다. 74%는 모바일 앱으로 이동을 유도하는 알림창을, 67%는 자동실행 광고를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확인

 

위 기사와의 연관성

 

다크패턴

소비자 낚는 온라인 ‘다크패턴’…앞으로 이러면 처벌받는다 [D:로그인]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4100158.20250217070040001

공정위원장 “다크패턴·이용후기 조작 모니터링 강화…해외 위해제품 실효적 차단”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2100701.20241203110116001

디지털서비스

'아세안 데이터센터 허브'로 떠오르는 말레이시아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2100601.20250217163123001

비즈데이터 'PAMs', 2025년 대대적 서비스 개편 추진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2100201.20250212171127001

MICE 산업 디지털전환 '오투미트-G', 중소기업기술마켓 등록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2100201.20250122140339001

TTA "올해 디지털서비스 계약 금액 5000억원 넘어…민간 클라우드 공공 분야 확대 앞장”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2100851.20241218153826001

포시에스, 전자계약 서비스 '이폼사인' 잇따라 수상...“신뢰성 공식 인정”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7100501.20241212193935001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2100801.20250205082623001

 

위 기사로의 인사이트

해당 글은 서비스기획자로서 UX를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요건이다.

고객의 관점으로는 해당 뉴스에 나와있는 것을 해결한다면 UX 향상이 될 것이고

기업의 관점으로는 해당 패턴으로 인해 지연으로 인하여 매출을 유지하는 것에 일조하는 것이다.

어차피 시장 점유율 1등인 시점에서 이러한 UI를 넣어도 당신들은 쓸 수 밖에 없다는 마음이 기저에 깔려있는 것

더불어 어떤 서비스든 고도화 될수록 UI는 복잡해질 수 밖에 없다.

그렇기에 개편은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