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오늘의 경제

[경제신문 스크랩] #AI #한국 #중국 25.03.07

by 스토리울음 2025. 3. 7.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03005

 

유상임 "中 AI 발전속도 놀라워…韓 생존 위해 결단 필요한 시점"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사진)이 “중국을 제치고 미국과 함께 인공지능 양대 강국이 되겠다는 목표를 세웠는데 쉽지 않겠다는 생각이 든다”며 “한국이 생존하려면 결단이 필요한

n.news.naver.com

요약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025에서 중국의 AI 발전 속도에 대해 우려하며, 한국이 생존하기 위해선 빠른 결단과 고급 인력 유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화웨이 전시관에서 GPU 생산과 소프트웨어 개발을 직접 확인하며 중국의 경쟁력을 인정했다. 한국은 자금과 인력이 부족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수치&인사이트 추출

01. 화웨이 전시관에서의 기술 발전: GPU와 안테나 기술이 인상적이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자국에서 모두 개발됨.

 

02. 미국의 세계 인재 유치 비율: 미국이 세계 인재를 빠르게 빨아들이는 상황에서 중국만이 경쟁할 자본과 인력을 보유.

 

용어 정리

  • MWC (Mobile World Congress): 세계 최대의 이동통신 전시회, 매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됨.
  •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 컴퓨터 그래픽스와 이미지 처리에 사용되는 주요 부품.
  • CUDA (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 NVIDIA의 병렬 컴퓨팅 플랫폼 및 API, GPU를 활용한 계산 처리를 가능하게 함.
  • 6G: 6세대 이동통신, 현재의 5G를 넘어선 차세대 통신 기술.

 

추가 조사 해봐야 할 내용

  • 중국과 한국의 AI 기술 격차: 중국의 AI 분야 발전 속도와 한국의 대응 방안.
  • 한국의 고급 AI 인력 유치 방안: 고급 인력을 유치하기 위한 구체적 전략과 경제적 보상 모델.
  • 6G 및 AI 기술 협력: 한국과 미국 간의 6G 및 AI 분야 협력 방안과 기술적 차이점 분석.

 

적용점 (관련 업무 종사자에게 질문할 리스트)

  • AI 연구개발자: 중국의 AI 기술 발전 속도에 맞서기 위해 한국은 어떤 기술적 혁신을 추구해야 하는가?
  • 정책 기획자: 한국의 AI 고급 인력 유치 전략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은 무엇인가?
  • 경제 전문가: 한국이 자금과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 통신 분야 전문가: 6G 기술의 발전 현황과 한국의 역할은 무엇인지, 미국과의 협력 방안은 어떻게 설정할 수 있을까?

 

 

연관기사링크

키워드 : AI,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