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오늘의 경제

[경제신문 스크랩] #AI #한국 25.03.10

by 스토리울음 2025. 3. 10.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103854

 

"세계 1등 아니더라도 우리만의 '소버린 AI' 개발 서둘러야"

서울지하철 3호선 안국역 3번 출구를 나와 창경궁 담길을 따라 10여 분 걸으면 전통 가옥들이 자리한 동네가 나타난다. 길의 끝에는 한국판 미네르바대로 불리는 태재대가 있다. 염재호 태재대

n.news.naver.com

한국경제 입력2025.03.09. 오후 5:36  수정2025.03.10. 오전 12:30

 

헤드라인

"세계 1등 아니더라도 우리만의 '소버린 AI' 개발 서둘러야"

 

요약

염재호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부위원장은 한국의 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소버린 AI' 개발이 필요하며, 패스트 팔로어 전략을 채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AI의 발전을 위해 GPU가 장착된 컴퓨팅 센터, 데이터 규제 완화, 인재 확보가 중요하며, 2027년까지 한국을 AI 3대 강국으로 만드는 목표를 제시했다.

 

용어 정리

  • 소버린 AI(Sovereign AI): 국가 또는 지역에 맞춘 독자적인 인공지능 기술, 글로벌 AI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개발된 AI 시스템.
  • 패스트 팔로어 전략(Fast Follower Strategy): 선도 기업을 따라가면서 차별화된 기술을 개발하고 빠르게 시장에 적응하는 전략.
  •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고속 그래픽 처리와 AI 연산을 위한 중요한 하드웨어 부품.
  • AI 컴퓨팅센터: AI 기술 개발을 위한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갖춘 데이터 센터.
  • GPU 성능 향상: AI 개발에 필요한 연산 성능을 제공하는 기술 발전.

 

본문의 근거 (객관적 수치)

  •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목표: 2027년까지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전략 수립.
  • GPU 확보 계획: 내년까지 1만8000장의 GPU를 확보하여 소버린 AI 개발을 지원.
  • AI 디지털 교과서 채택: AI 기반 맞춤형 교육이 기존 사교육을 혁신할 수 있는 가능성 제시.

 

추가 조사 내용:

  • 한국의 AI 경쟁력 강화 방안: 소버린 AI 개발을 위한 정부 정책과 민간 기업의 역할.
  • 패스트 팔로어 전략: 선도적인 국가들(미국, 중국)과의 차별화 전략과 한국의 AI 성장 모델.
  • AI 인재 확보: AI 인재 유치 전략 및 국내 인재 유출 방지 방안.
  • 데이터 규제 완화: 익명 데이터 활용을 위한 규제 완화와 개인정보 보호의 균형.

 

적용점 (관련 업무 종사자에게 질문할 리스트)

  • AI 개발자: 한국의 소버린 AI 개발을 위해 필요한 기술적 요소와 향후 기술 트렌드는 무엇인가?
  • 정책 기획자: AI 인재 유치를 위한 정부 정책 및 인프라 확충 방안은 무엇인가?
  • 경제 전문가: 패스트 팔로어 전략을 통해 한국이 글로벌 AI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 통신 및 IT 전문가: AI 컴퓨팅센터GPU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은 무엇인가?

 

Think

  • 딥시크의 사례로 보았을 떄 엔비디아의 GPU 확보만이 답인가?
    • 아니면 저가형 칩으로도 가능한 것 인가?
  • AI는 실제로 도움이 되고 있는가?
  • 미국 빅테크 기업 수장들의 발언에 따르면 투자대비 AI 효용성에 대한 의문에 대하여 인정한 바 있다. 하지만 투자하지 않는 것이 투자하는 것 보다 잃는 것이 더 많아 진행 중 이라고 하는데 이는 어떤 의미인가?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