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330P)
- 서언 피터 드러커에게 배운 10가지의 교훈_짐 콜린스(15P)
- 서문 경영 리더라면 성과를 내야 한다.(3P)
- 들어가며 어떻게 '성과를 내는 경영 리더'가 되는가(020P)
- 1장: 성과 목표 달성 능력은 배울 수 있다(38P)
- 2장: 당신의 시간을 알라(46P)
- 3장: 내가 기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32P)
- 4장: 강점을 생산적이 되도록 하라(48P)
- 5장: 중요한 것부터 먼저 하라(22P)
- 6장: 의사 결정의 주요 요소들(48P)
- 7장: 효과적인 의사 결정은 어떻게 하는가(44P)
- 나오며: 성과를 내는 능력은 습득해야 한다(13P)
- 옮긴이의 말: 진정 값진 성과를 내는 경영 리더로의 여정(4P)
인상 깊은 구절
- 본인이 잘하는 것을 하라
- 내가 구축한 강점을 통해 약점이 문제가 되지 않게 만드는 것
- 최고의 상태에서 일하라
- 당신은 어떤 부류의 사람인가?
- 밤에 최고의 수준으로 작동하는가?
- 아침에 최고의 수준으로 작동하는가?
- 읽으면서 정보를 가장 잘 흡수하는가?
- 경청하면서 정보를 더 잘 받아들이는가?
- 무엇인가 한 가지에 몰입할 때 활발해지는가?
- 다양한 일을 조금씩 처리할 때 더 일을 잘하는가?
- 프로젝트 지향적인 사람인가?
- 프로세스 지향적인 사람인가?
- 휴가를 원하는가?
- 휴가가 끝날 때가 최고의 순간인가?
- 팀을 선호하는가?
- 혼자서 일할 때 가장 좋은가?
- 당신은 어떤 상태에서 최고의 컨디션을 유지하는가?
- 어느 누구도 여러분이 어떻게 하면 최고 수준의 컨디션에서 업무를 행하는지 책임을 지지 않는다.
- 그것은 당신의 책무이니 스스로 어떤 사람인지 고민하라
- 당신은 어떤 부류의 사람인가?
-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정확히 파악하라
- 필자는 일정을 정리하는 스프레드시트에 한 가지 측정 척도를 작성하고 있다.
- 1년에 1,000시간 이상의 창의적 시간을 사용한다는 목표로 매일 몇 시간이나 창의적으로 보냈는지 기록
- 필자는 일정을 정리하는 스프레드시트에 한 가지 측정 척도를 작성하고 있다.
- 다시 새로 시작하지 않을 일이라면 멈추어라
- 계속 늘어나는 '해야 할 일' 목록만 존재한다는 것은 수련의 결여
- 우선 순위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은,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인 잡동사니 일들을 정리한다는 것
- 과거에서 미래로 전환해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 항상 다음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하며 나아가라
- '만약 여러분이 이미 하고 있는일을 오늘 새로 시작해야 한다면, 여러분은 그 것을 여전히 하겠습니까? 하지 않을 거라면, 왜 계속합니까?'
- 어떻게 살아남을지에 대해 상당히 많은 시간을 고민했는가?
- 아니다, 어떻게 하면 유용할 수 있는가로 바꿔서 생각해라
- 당신에게 위대한 스승이 있는가?
- 위대한 스승은 당신의 인생을 30초 만에 변화시킬 수 있다.
- 그리고 누군가의 스승이 되도록 노력하라
적용 점
- 스스로를 관리하자
- 내가 잘하는 것은 무엇일까?
- 강점은 무엇일까?
- 옳다 생각하는 사람의 말은 무조건 따른다.
- 나는 현재 스승을 찾고있다.
- 강점을 발견한 후에는 지속적으로 갈고 닦아라
- 옳다 생각하는 사람의 말은 무조건 따른다.
- 나는 어떤 사람일까?
- 아침형 인간인가?
- 나의 삶을 한번 돌아봐야겠다.
- 혼자 일할 때 가장 좋았다.
- 시간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정확히 파악
-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는 파악했었다.
- 하지만 목표와 우선 순위를 설정하고 그것에 얼마를 투자하고 있는지 파악해야 한다.
- 그리고 워렌버핏의 3분할 시간관리를 따르자 8시간을 취침하고 8시간의 업무를 보고 나머지 8시간을 배분하고
- 아주 마음에 드는 방식이다.
- 누군가는 말한다 성공하고 싶다면 잠을 왜자?
- 성공하고 싶다고 말했던가?
- 그저 살아갈 의미를 찾고있는 과정인데
- 미안한 말이지만 잠을 안 자게 되면 난 능률이 더 떨어진다.
- 몸이 그렇다
- 시간을 객관적으로 바라보자
- 내가 어떤 시간에 활기차고, 어떤 시간에 쳐지는지
- 하나의 의사 결정이 필요할 떄, 수 많은 의사 결정을 할 필요없다.
- 맞다.
- 이러한 상황이 오면 한 걸음 물러서서 관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 내가 행하는 현재의 일이 다시 새로 시작하지 않을 일이라면 무의미한 일이다.
- 미래의 내가 보았을 때 이것을 다시 할 수 있는가?
- 흔히 묻는 질문이다.
- 그때로 돌아간다 해도 똑같은 선택을 하시겠습니까?
- 어떻게 먹고살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많이 했던 것 같다.
- 어떻게 하면 유용할 수 있는가?로 바꿔서 생각해보자
- 나는 스승을 찾아가고 있다.
- 분야별로..
- 언젠가 누군가의 스승이 되어보자
- 습관은 중요하다
- 꾸준한 것이 제일 어렵다
- 노력하자
- 배움은 끝이 없다.
- 사람들은 말한다 공부가 제일 쉽다고
- 나는 그런 사람들을 보고 생각한다.
- 운전도 공부인데..
- 일머리도 공부인데..
- 재련을 하는 법도 공부인데..
- 그들이 말하는 공부는 “국 영 수 사 과에 한정되어 있다.”
- 입시를 위한 공부.. 그것만이 공부는 아니다.
- 물론 대한민국 사회에서는 제일 쉬운 길일지 모른다.
- 그렇지만 그 사회가 현재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는가?
'일상 > 자기계발&자기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 피터 드러커 자기경영노트 - 1장 (1) | 2025.04.02 |
---|---|
[독서] 피터 드러커 자기경영노트 - 들어가며 (0) | 2025.04.01 |
[#정보처리기사] 24년 3회 문제"공부" (0) | 2025.03.28 |
[#오늘의 집] 오늘의집이 ‘실시간 AI 추천’으로 88% 더 성장한 방법 (0) | 2025.03.27 |
[CES 2025] #CES 2025 #요약 (1) | 2025.03.26 |